본문 바로가기

김현우의 경기 분석/K리그

(10)
울산이 중원에서 완패한 이유 수원이 결국 울산을 상대로 완승을 거두었는데요! 이번 영상은 3가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 1. 수원이 울산의 압박을 풀어낸 방식 2. 울산의 압박이 실패한 이유 3. 울산이 중원에서 완패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현우의 축구 이야기입니다. ​ 저번 영상부터 제가 제 육성으로 직접 녹음하고 관리하게 되었는데요! 이전에 녹음하시던 분의 개인사정으로 인해 당분간 제가 직접 녹음하고 편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다 하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요소들을 같이 시도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영상 - youtu.be/CEBQ8PFyt74
다시보는 1라운드 : 울산이 강원을 상대했던 전술 다소 지금 올라오기에 늦은 타이밍이지만! 홍명보 감독의 K리그 데뷔전이자 강원이라는 까다로운 팀을 상대로 어떻게 완승을 거두었는지 그 과정을 짚어보려고 합니다. ​ 영상에서는 크게 3가지를 포괄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 1. 울산이 프론트 라인을 어떻게 활용해 강원의 빌드업을 견제 했는지 2. 설영우 선수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 설영우 선수의 플레이가 중원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3. 강원이 어떤 포인트를 두고 압박했고 초반 10분에는 왜 잘 풀렸는지. ​ 이 3가지를 중점을 두고 영상 제작했습니다. 지난 시즌 경기 K리그 칼럼으로는 어느정도 봤지만 이번 시즌부터는 K리그도 분석 영상으로 여러 차례 찾아뵐려고 합니다! 링크 - youtu.be/DUJaxUm-Mtw
울산의 마지막 결승전 전술은 무엇이었을까? 1. 원두재 선수의 센터백으로 내려가는 움직임. → K리그에서 부터 몇 차례 볼 수 있었고 또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센터백 역할을 수행했던 원두재 선수의 후방으로 더 내려가는 움직임. ​ 2. 박주호 선수의 인버티드 풀백 → 왼쪽 박주호 - 불투이스 조합일 때 나오는 안쪽으로 좁혀 중원 경합 + 왼쪽 측면으로 전진할 수 있는 옵션을 갖춘 울산의 백4라인 ​ 3. 신진호 선수와 윤빛가람 선수의 볼 받는 위치가 다르면서 동시에 공격 패턴이나 상대 압박을 역이용할 수 있었던 상황 → 최근 현대축구는 1-4-4-2 포메이션에서 뮌헨과 AC 밀란처럼 대략 비슷하게 맨마킹 압박을 펼치는데 어쩌면 울산이 이를 역이용할 수 있는 상황. ​ 링크 - https://youtu.be/mIJBfLJA-8Q
[김현우의 경기 분석] 승리의 발판이 된 포항의 전술 포인트 울산은 포항과의 경기에서 불투이스, 비욘존슨의 퇴장으로 리그에서 중요한 자원들을 잃으면서 앞으로의 리그 우승 경쟁에 최악의 시나리오로 흘러가고 있다. 또한 포항과의 경기에서는 우승 경쟁에 중요한 승부처로 작용될 수 있는 경기이기 때문에 울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타이밍에 완패를 한 것은 치명타로 작용될 완패였다. □ 포항의 빌드업 형태 김기동 감독은 공격 상황에서는 1-4-2-3-1 형태를 보였다. 보통 1-4-2-3-1 포메이션은 2선 중앙에 위치해 있는 이승모가 밑으로 내려오면서 빌드업을 도와주는 형태가 되지만, 포항은 왼쪽 풀백인 강상우가 안쪽으로 좁혀 들어와 수비형 미드필더 1명과 같이 중원을 지키는 형태로 센터백 앞에 위치한다. 이후 다른 미드필더는 전진하면서 공격 숫자를 더 추가하는 역할을 이..
[김현우의 경기 분석] 과거와 달라진 수원의 전술 수원이 정말 오랜만에 슈퍼매치에서 승리했다. 서울을 상대로 빅버드에서도 승리가 한동안 없었던 수원이기 때문에 이번 승리가 반가운 이유도 있지만, 더 반가운 이유는 두 팀 다 파이널 B 그룹에서 수원의 상황을 더 긍정적으로 만들 수 있고 흐름을 이어나가는 좋은 발판이 된 어려운 승리였다는 점에서 이 승리는 더 값진 승리인 셈이다. □ 백3 vs 백4의 대결 박건하 감독은 김태환을 윙백으로 두고 타가트와 한석희를 투톱으로 세우는 1-3-5-2 전술을 활용했다. 김태환은 속도에 자신감 있는 선수이다. 공격수로도 뛸 수 있는 선수이지만 박건하 감독은 윙백으로 기용했다. 박혁순 감독대행은 김호영 전 감독대행이 세운 전술이라고 언급했다. 이 점을 고려했을 때 박혁순 감독대행이 경기를 풀어나가려는 의도가 담긴 경기는..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의 공격 전술은 무엇이었을까? 전북은 광주 원정에서 3 대 3으로 비기면서 또다시 승리하는데 실패했다. 광주는 이번 경기에서 전북의 뒷공간을 집요하게 노리는 공격 패턴을 준비했는데 전북에게 굉장히 잘 먹혀들어갈만한 패턴이었고 오히려 전북이 압박을 펼칠 수 없게 볼을 지속적으로 후방에서 소유하기보다는 롱 볼로 전북의 수비라인과 광주의 공격진이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만들었다. □ 전북의 공격 패턴 -이용에게 주어졌던 임무 모라이스가 경기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서 풀백들은 높은 지점까지 오버래핑하거나 안쪽으로 들어가 인버티드 윙백처럼 중원에서 수적 싸움을 돕는 것이 주로 주어진 오른쪽 윙백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번 경기에서는 조금 달랐다. 모라이스는 이용을 후방에서 빌드 업을 시작할 때 센터백 라인에 합류하면서 백3를 만드는 곳부터 시작했다..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이 성남전에서 보인 문제는 무엇일까? 이번 시즌 리그 홈에서 승리가 없던 성남은 전북을 잡으면서 첫 승리를 기록했다. 우승 경쟁하는 전북이기 때문에 성남의 승리는 언더독의 반란이었다. 반면, 패배한 전북은 전방 압박하는 그림을 몇 경기 동안 그렸지만 아직 방황하는 상황이다. 이번 경기는 전북에게 뚜렷한 전방 압박의 장치나 콘셉트가 현 전북에게 꼭 필요한 상황임을 알려준 경기였다. □ 전북의 좁은 공격 포지셔닝 모라이스 감독은 경기장을 좁게 활용하는 경기 운영을 준비했다. 이주용과 쿠니모토를 안쪽으로 좁혀 들어오게 포지셔닝 하면서 중원 경합과 좁은 공간을 활용한 이타적인 플레이로 선수들의 포지셔닝만 보고 추측할 수 있겠지만, 실제 경기 운영은 달랐다. 측면으로 공격 전개가 이루어질 때는 윙백들이 측면에 혼자 위치하고 윙어들(쿠니모토, 한교원)..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의 패배 원인은 무엇일까? 전북은 올 시즌 처음으로 리그에서 한 팀에게 2번 패하면서 울산과의 우승 경쟁에서 힘들어지고 있다. 전북은 강원의 극적인 역전골 이전에 전북이 상주전부터 공통적인 약점을 보이고 있다. 한편, 공격 패턴 부분에서는 전북이 마지막 기회를 못 살렸지만 선수들의 포지셔닝이 국내에서 보기 독특한 패턴으로 보였다. □ 강원의 1-3-4-3 수비 김병수 감독은 이번 경기에서 실리적인 경기 운영을 선택했다. 기존에 운영하는 방식을 두고 전북을 상대로 실리적인 선택을 했다는 것은, 전북이라는 상대와 현 강원의 상황을 두고 봤을 때 김병수 감독의 합리적인 판단을 내렸다. 강원이 보인 수비 방식은 1-3-4-3을 기반으로 3톱부터 수비라인을 압박하기 시작한 것이다. 골키퍼에 대한 압박도 시작되면서 2명의 센터백과 공격 전개..
[김현우의 경기 분석] 부산의 약점을 잘 파악했던 주승진 감독 전반전까지 스코어로 밀리고 있었던 수원은 후반전에 염기훈이 투입되고 역전하면서 쐐기골까지 염기훈이 직접 넣으면서 역전에 성공했다. 이번 경기에서 부산이 치명적으로 노출한 약점을 주승진 감독이 후반전 시작부터 선수들의 포지셔닝이 약점을 파고드는 모습이 굉장히 강했다. 집요하게 노린 약점을 염기훈의 투입으로 쐐기를 박은 경기 흐름이었다.□ 부산의 수비 방식(1) 4백 상황에서의 수비 방식 부산이 이번 경기에서 보인 포메이션은 1-4-5-1과 1-3-4-1-2 포메이션이었다. 전반전에 먼저 1-4-5-1 포메이션을 선보였는데 포메이션이 다르면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수비 패턴이 보였다. 즉, 목표한 바가 전반전과 후반전에는 다르다는 것이다. 전반전에 나왔던 1-4-5-1 포메이션의 목적은 수원의 3명의 센터..
[김현우의 경기 분석] 승리했지만 불안정한 경기 운영이었던 전북 전북은 이적 시장에서 바로우와 구스타보를 영입하고 이번 상주전에서 두 선수를 동시에 선발 시키면서 막강한 화력을 예고했으나 2 대 1로 상주를 간신히 이기면서 2위를 유지해 이번 라운드를 마쳤다. 모라이스 감독은 이번 경기에서 다소 불안정하면서 전반전을 끝마쳤는데 많은 불안전한 요소들이 보이면서 전반전 주도권은 상주가 가져갔다 해도 무방했다. □ 애매함만 남긴 전북의 전방 압박 전북은 전방 압박 전술을 꺼내들면서 1-4-4-2 형태를 주로 유지했다. 전방에서 구스타보와 같이 압박할 파트너는 이승기 또는 김보경이 되면서 상주의 공격이 후방에서 전환된 측면에 해당 위치에 있는 선수로 된다. 예를 들어 상주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볼이 전환될 때 이승기가 있기에 전진하면서 투톱을 형성한다. 이 과정 속에서 이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