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현우의 경기 분석/K리그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의 공격 전술은 무엇이었을까?

전북은 광주 원정에서 3 3으로 비기면서 또다시 승리하는데 실패했다. 광주는 이번 경기에서 전북의 뒷공간을 집요하게 노리는 공격 패턴을 준비했는데 전북에게 굉장히 잘 먹혀들어갈만한 패턴이었고 오히려 전북이 압박을 펼칠 수 없게 볼을 지속적으로 후방에서 소유하기보다는 롱 볼로 전북의 수비라인과 광주의 공격진이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만들었다.

 

□ 전북의 공격 패턴

-이용에게 주어졌던 임무


모라이스가 경기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서 풀백들은 높은 지점까지 오버래핑하거나 안쪽으로 들어가 인버티드 윙백처럼 중원에서 수적 싸움을 돕는 것이 주로 주어진 오른쪽 윙백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번 경기에서는 조금 달랐다.

 

모라이스는 이용을 후방에서 빌드 업을 시작할 때 센터백 라인에 합류하면서 백3를 만드는 곳부터 시작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전북의 오른쪽은 한교원이 윙백 위치까지 내려오면서 볼을 받을 장소에 기다리는 움직임이었다. 한교원이 만약 받으러 오지 않고 1선 또는 2선까지 전진했더라면 전북의 오른쪽 공격 루트는 아예 끊기고 후방에서 빌드업이 시작되기 때문에 왼쪽으로부터 공격 루트가 편향될 수밖에 없었다.

 

오른쪽 측면에서 이용이 내려와 있기 때문에 당연히 수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승기가 같이 오른쪽 측면에 위치하면서 모라이스는 이승기를 두 가지 방법으로 활용했다. 첫 번째는 한교원이 내려오면서 광주의 풀백과 센터백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찾아 들어가서 선점해 가운데에 징검다리 역할이 되어주는 것이 첫 번째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굳이 이승기가 오른쪽에서 활용하지 않아도 이번 경기에서 주 임무가 공간을 찾아 들어가면서 구스타보, 한교원이 빌드 업을 돕기 위해 후방으로 내려가면서 생기는 공간을 이승기가 찾아 들어가는 역할이었다.

 

두 번째 방법은 이용이 센터백에 지점에서 오버래핑해서 높은 지점까지 올라갔을 때 이용의 후방을 커버해 주는 포지셔닝을 보였다. 상대의 역습을 대비하는 포지셔닝으로 볼 수 있었다. 전북은 왼쪽과 오른쪽에서 다른 공격 패턴을 보였는데 오른쪽에서는 이승기를 활용해 공간을 선점하기도 했지만 이용과 이승기가 후방에서 적극적으로 크로스를 올리는 패턴이었다. 그래서 다소 전북의 경기가 어렵게 가지 않고 단순한 패턴으로 공격을 시도한 것이다.

 

한편, 광주는 1-4-4-2 포메이션으로 수비했는데 이용을 압박하는 두현석의 입장에서는 이용이 후방에 내려가 있다 보니 압박하면서 1-4-4-2 형태가 아니라 약간 1-4-3-3 형태로 바뀌기도 하면서 전북의 후방 빌드업 방식을 예측하지 못한 모습이었다.

 

-오른쪽 측면

전북의 오른쪽 측면에서는 앞서 언급한 데로 이승기가 공간을 선점해 들어가는 방식이 주 공격 패턴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 속에서도 한교원과 이승기가 지속적으로 자리를 바꿔 들어가는 움직임도 많았고 이용을 통해 크로스를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전북의 공격 패턴도 있었다.

 

이런 공격 전개를 보인 까닭은 최근 전북 경기에서 공격 패턴을 어렵게 가져가면서 수준 높은 패턴을 보이려는 경향이 자주 보여 모라이스 감독이 여러 공격 패턴을 전북에 적합한 패턴으로 삼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선수들이 스위칭하는 움직임이 단순한 패턴은 아닐지라도 공간을 만들고 들어가는 패턴 중에서는 가장 단순한 패턴으로 전북이 선보였다.

 

-왼쪽 측면에서 보인 공격 패턴

전북은 왼쪽과 오른쪽 측면에서 각각 다른 공격 패턴을 선보였다. 오른쪽은 단순한 패턴을 가져갔다면 왼쪽에는 3번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컷백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게 주 목적이었다.

 

왼쪽 측면에서는 한교원, 최철순, 김보경이 같은 측면에 위치하고 이승기도 전방에서 공간을 먼저 선점하며 들어갈 때 왼쪽 측면에 맞물린다면 광주의 백포라인은 센터백 두 명이 공격진들과 충돌하면서 수적으로 크게 불리해지는데 이 상황에서 광주의 여름, 박정수가 수비라인으로 커버 들어가는 움직임이 굉장히 많았다.

 

이 과정 속에서 3선의 커버가 페널티 박스 밖에서는 수적으로 더 불리해지면서 전북의 첫 번째 동점골 상황에서 김보경의 페널티 박스 접근이 매우 쉬워 골을 만들었다. 결국 전북이 왼쪽 측면에서 가져가려 했던 공격 패턴은 공격수들이 자유롭게 위치를 바꿔가며 플레이하기 했지만 조규성, 김보경, 최철순을 활용해 이타적으로 3번 공간에 페널티 박스 안에 가깝게 들어가서 페널티 박스 안으로 쇄도하는 선수에게 주는 공격 루트 또는 첫 번째 동점골 상황처럼 후방에서 침투하는 선수에게 볼을 주는 두 가지 선택지가 나올 수 있게 만드는 게 목표였다.

 

이번 경기에서 전북의 공격 패턴은 나름은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광주가 집요하게 노린 후방 공략 패턴을 생각해봤을 때 후방에서 볼을 소유하지 않고 계속 전방으로 볼을 넘겨주는 방식이 3선과 수비라인 사이 공간으로 볼을 떨궈주기보다 더 잘 먹혀 들어간다는 것을 이번 경기에서 드러났다. 또한 광주가 지속적으로 선 굵은 축구를 하면서 전북의 전방 압박 방식은 거의 지워졌던 경기였다.

 

앞으로 전북에게 주어진 숙제는 문제 있는 전북만의 전방 압박을 개선해서 나갈 것이냐 아니면 지역 수비 방식으로 갈 것이냐의 문제인데 현 상황에서 전북의 압박 카드를 안 상대팀을 생각한다면 지역 수비를 선택하는 것도 앞으로의 시즌을 고려했을 때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