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올 시즌 처음으로 리그에서 한 팀에게 2번 패하면서 울산과의 우승 경쟁에서 힘들어지고 있다. 전북은 강원의 극적인 역전골 이전에 전북이 상주전부터 공통적인 약점을 보이고 있다. 한편, 공격 패턴 부분에서는 전북이 마지막 기회를 못 살렸지만 선수들의 포지셔닝이 국내에서 보기 독특한 패턴으로 보였다.
□ 강원의 1-3-4-3 수비
김병수 감독은 이번 경기에서 실리적인 경기 운영을 선택했다. 기존에 운영하는 방식을 두고 전북을 상대로 실리적인 선택을 했다는 것은, 전북이라는 상대와 현 강원의 상황을 두고 봤을 때 김병수 감독의 합리적인 판단을 내렸다.
강원이 보인 수비 방식은 1-3-4-3을 기반으로 3톱부터 수비라인을 압박하기 시작한 것이다. 골키퍼에 대한 압박도 시작되면서 2명의 센터백과 공격 전개에 따른 풀백까지 같이 압박하면서 압박하는 측면에서는 수적으로 불리하지 않게 두는 압박이었다.
경기 초반에는 압박이 여러 차례 먹혔지만 전북이라는 팀은 개인 기량을 우위로 두고 밀고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센터백부터 시작되는 압박보다는 라인을 낮추고 1-5-4-1 형태로 양쪽의 조재완과 정석화를 수비형 미드필더 2명 양쪽에 배치시키면서 전북 풀백이 높은 지점까지 못 올라오게 견제하는 수비 방식이 포인트었다.
한편, 전북이 보였던 후방 빌드 업은 1-4-2-4 형태에 가까웠다. 손준호는 항상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백포라인 앞에서 원볼란테 형태로 빌드 업을 주도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 경기에서는 이승기가 조력자가 되면서 투 볼란테 형태로 경기를 운영했는데, 강원의 3톱의 압박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파악된다.
□ 전북의 마법의 사각형
모라이스 감독은 이번 시즌이 지날수록 1-4-4-2 포메이션에 대한 욕심을 드러내고 있다. 이번 경기에서 이승기와 손준호가 3톱을 대항하기 위한 포지셔닝이었지만 지속적으로 김보경이 전진하고 바로우가 안쪽으로 좁혀 들어와 위치하면서 투 볼란테 앞에 또 다른 2명의 미드필더가 생기는 것이다. 또 앞에는 이성윤이 측면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구스타보와 투톱을 이루는 1-4-2-2-2 포메이션이 나왔다.
수비라인부터 본다면 사각형이 3개가 되고 중앙 지역에서 수적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하게 중앙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담긴 1-4-4-2의 변형된 포메이션이다. 이번 시즌 초반 5경기에서 선수들의 움직임을 봤을 때 비슷한 상황이 나왔지만 느린 템포로 경기 전개가 답답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선수들의 포지셔닝이나 전술 적응이 덜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지만 이번 경기에서는 다소 개선되었다.
앞서 언급한 전술은 ‘마법의 사각형’으로 불리는데 시메오네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보였던 전술이다. 이 전술의 장점은 2선에 있는 김보경과 바로우가 같이 공존하면서 상대의 집중 견제를 2명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 하프 스페이스 공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 두 선수가 하프 스페이스 공간을 선점할 수 있는 선수로도 활용되기도 한다.
실제로 마법의 사각형을 활용할 때 전북은 1~2차례 정도 결정적인 기회를 만들었지만 득점하지 못하면서 패스의 빌미가 된 원인이 되기도 하다.
□ 전북의 1-4-4-2 전방 압박
경기 운영하는 부문에 있어서 전북의 가장 큰 문제는 개인적으로 수비에 있다고 생각한다. 전북은 지난 경기(상주)와 동일하게 1-4-4-2 포메이션으로 전방 압박을 시작했다. 저번 경기에서는 손준호가 3선에서 전진하면서 생긴 공간을 커버하는 타이밍이나 어느 공간을 커버해야 할지 혼란스러워 보이는 모습들이 많이 보여서 그런지 이번 경기에서는 김보경만 전진하고 이승기와 손준호가 고정적으로 3선을 지키면서 혼선을 덜었다.
전북의 압박은 강원의 3백과 전북의 투톱(구스타보, 김보경) 대결이었기 때문에 전북이 수적으로 불리하겠지만 최대한 측면으로 몰아서 전방에서 부족한 수적을 측면으로 전환시켜 압박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압박 타이밍을 전방에서 빨리 가져가면서 최대한 전환을 못 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전북의 1선 압박은 좋은 타이밍을 가져가서 훌륭했지만, 문제는 여전히 넓은 수비라인과 3선 공간과 오른쪽 측면이었다.
상주전에도 비슷한 장면이 여러 차례 나왔지만 수비라인과 3선 간격이 강원의 3톱이 위치하기 좋게끔 공간이 나와있었다. 이 공간을 강원은 3톱에서 역할을 스위칭하면서 볼을 받고 다시 올라가는 움직임으로 활용해 공격 패턴을 만들어갔지만 잘 풀리진 않았지만 2선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 다른 문제는 오른쪽 측면이었다. 이성윤은 이 경기에서 김경중의 오버래핑 올 때마다 수비라인으로 내려가서 5백을 형성하였지만 한 장면에서는 아예 내려가면서 김영빈(강원 센터백)이 올라오기 편하게끔 어떤 압박도 하지 않았다.
이뿐만 아니라 강원의 공격 전개가 한쪽으로 오른쪽으로 쏠릴 경우 신세계와 이재관이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면 전북의 손준호, 이승기도 같이 맨 마킹하면서 아예 오른쪽의 공간이 굉장히 많이 발생된다. 이성윤도 김경중이 내려가면 견제하기 때문에 내려가는 움직임이 영향이 김경중이기 때문에 더 크게 발생된다.
전북의 수비 상황을 봤을 때 빌드 업하는 측면에서 풀어내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조재완, 고무열이 왼쪽 공간으로 내려와서 받아준다면 더 매서운 공격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김현우의 경기 분석 > K리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현우의 경기 분석] 과거와 달라진 수원의 전술 (0) | 2020.09.28 |
---|---|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의 공격 전술은 무엇이었을까? (0) | 2020.09.14 |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이 성남전에서 보인 문제는 무엇일까? (0) | 2020.09.08 |
[김현우의 경기 분석] 부산의 약점을 잘 파악했던 주승진 감독 (0) | 2020.08.31 |
[김현우의 경기 분석] 승리했지만 불안정한 경기 운영이었던 전북 (0) | 202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