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현우의 경기 분석/K리그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이 성남전에서 보인 문제는 무엇일까?

이번 시즌 리그 홈에서 승리가 없던 성남은 전북을 잡으면서 첫 승리를 기록했다. 우승 경쟁하는 전북이기 때문에 성남의 승리는 언더독의 반란이었다. 반면, 패배한 전북은 전방 압박하는 그림을 몇 경기 동안 그렸지만 아직 방황하는 상황이다. 이번 경기는 전북에게 뚜렷한 전방 압박의 장치나 콘셉트가 현 전북에게 꼭 필요한 상황임을 알려준 경기였다.


□ 전북의 좁은 공격 포지셔닝

모라이스 감독은 경기장을 좁게 활용하는 경기 운영을 준비했다. 이주용과 쿠니모토를 안쪽으로 좁혀 들어오게 포지셔닝 하면서 중원 경합과 좁은 공간을 활용한 이타적인 플레이로 선수들의 포지셔닝만 보고 추측할 수 있겠지만, 실제 경기 운영은 달랐다.

 

측면으로 공격 전개가 이루어질 때는 윙백들이 측면에 혼자 위치하고 윙어들(쿠니모토, 한교원)은 안쪽으로 좁혀 들어오면서 수적 우위를 거둘 수 있는 상황이 기본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북에게 공격을 풀어나가는데 더 어려움을 주었다.

 

성남은 1-5-4-1 수비 형태로 수비라인과 3선 사이를 좁히면서 공간을 최소화했는데 전북 선수들이 좁은 공간에서 볼을 소유하거나 짧은 패스 플레이와 움직임이 나오지 않으면서 공략하기 굉장히 어려운 성남 수비진이 되었다. 오히려 좁은 성남의 수비 공간을 한교원, 쿠니모토 선수를 경기장을 넓게 활용하면서 수비 균형을 무너뜨리는 공격 패턴 방식이 어땠을까 싶다.

 

모라이스 감독은 지난 시즌과 다르게 이번 시즌은 전북의 공격 형태를 좁은 상태에서 창의적으로 만들어 가거나 중앙을 집요하게 노리는 공격 패턴을 구사하기 위한 노력이 보인다. 그러나 현 전북 선수들을 봤을 때 좁은 공간에서 소유하는 선수들 보다 경기장을 넓게 활용하면서 생기는 공간을 더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 많아 보인다.


□ 전방 압박 콘셉트

전북은 이번 경기에서도 1-4-4-2 또는 1-4-1-4-1 형태로 전방 압박을 준비했다. 전반전에는 1-4-4-2 형태로 조규성과 김보경이 전방을 압박하는 움직임을 가져가면서 손준호, 이승기는 맨투맨 방식으로 중원 선수들을 압박하며 성남의 후방을 봉쇄하려는 의도였다.

 

전북의 압박 과정 속에서 나상호를 김남일 감독이 프리 한 역할로 두었는데 이 의도는 경기장 전체를 프리하게 움직이면서 맨 마킹 방식으로 중원을 운영하는 전북의 압박 방식을 공략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성남의 중원을 제어할 때는 맨 마킹으로 중원 경합 가담하는 선수의 인원이 같기 때문에 맨 마킹으로 해도 제어할 수 있지만 2선에 있는 나상호가 프리하게 움직인다면 전북 수비 상황에서 혼돈이 왔었다.

 

조규성과 김보경을 앞에 세웠지만 성남의 백3를 제어하기에 수적으로도 부족하며 3선에서도 풀어나가기 굉장히 수월했을 것이다. 그러나 김남일 감독은 전북의 수비라인과 3선 사이를 공략했다. 적극적으로 키퍼와 백3에서 롱볼로 압박을 피하는 방식을 택한 것인데 이 방법이 성남이 2골을 넣는 요인이 되었다.

 

측면에서도 전북의 압박이 이루어졌는데 나상호의 프리 한 역할이 수적으로 불리하지 않을 상황과 나상호의 움직임을 어떻게 제어할지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면서 전북의 압박은 패배의 원흉이 되었고, 김남일 감독의 전술적 승리로 경기가 마무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