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충격의 리그 3연패. 전북의 축구는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걸까? 전북은 올 시즌도 분명 연속 우승을 노리는 팀 입니다. 그 만큼 좋은 자원들과 우승이라는 성과를 많이 보여주고 있는데요. 그러나 최근 리그에서 3경기 동안(FA컵 제외) 패배하면서 올 시즌 리그 초 반에 페이스를 전혀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과연 전북이 3경기 동안 보여준 모습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크게 2가지를 짚어보고 있습니다. 1. 측면에서 고립 2. 선수들의 정적인 포지셔닝 https://www.youtube.com/watch?v=mGtZq9DZWFU&t=1s&ab_channel=%EA%B9%80%ED%98%84%EC%9A%B0%EC%9D%98%EC%B6%95%EA%B5%AC%EC%9D%B4%EC%95%BC%EA%B8%B0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의 공격 전술은 무엇이었을까? 전북은 광주 원정에서 3 대 3으로 비기면서 또다시 승리하는데 실패했다. 광주는 이번 경기에서 전북의 뒷공간을 집요하게 노리는 공격 패턴을 준비했는데 전북에게 굉장히 잘 먹혀들어갈만한 패턴이었고 오히려 전북이 압박을 펼칠 수 없게 볼을 지속적으로 후방에서 소유하기보다는 롱 볼로 전북의 수비라인과 광주의 공격진이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만들었다. □ 전북의 공격 패턴 -이용에게 주어졌던 임무 모라이스가 경기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서 풀백들은 높은 지점까지 오버래핑하거나 안쪽으로 들어가 인버티드 윙백처럼 중원에서 수적 싸움을 돕는 것이 주로 주어진 오른쪽 윙백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번 경기에서는 조금 달랐다. 모라이스는 이용을 후방에서 빌드 업을 시작할 때 센터백 라인에 합류하면서 백3를 만드는 곳부터 시작했다..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이 성남전에서 보인 문제는 무엇일까? 이번 시즌 리그 홈에서 승리가 없던 성남은 전북을 잡으면서 첫 승리를 기록했다. 우승 경쟁하는 전북이기 때문에 성남의 승리는 언더독의 반란이었다. 반면, 패배한 전북은 전방 압박하는 그림을 몇 경기 동안 그렸지만 아직 방황하는 상황이다. 이번 경기는 전북에게 뚜렷한 전방 압박의 장치나 콘셉트가 현 전북에게 꼭 필요한 상황임을 알려준 경기였다. □ 전북의 좁은 공격 포지셔닝 모라이스 감독은 경기장을 좁게 활용하는 경기 운영을 준비했다. 이주용과 쿠니모토를 안쪽으로 좁혀 들어오게 포지셔닝 하면서 중원 경합과 좁은 공간을 활용한 이타적인 플레이로 선수들의 포지셔닝만 보고 추측할 수 있겠지만, 실제 경기 운영은 달랐다. 측면으로 공격 전개가 이루어질 때는 윙백들이 측면에 혼자 위치하고 윙어들(쿠니모토, 한교원).. [김현우의 경기 분석] 전북의 패배 원인은 무엇일까? 전북은 올 시즌 처음으로 리그에서 한 팀에게 2번 패하면서 울산과의 우승 경쟁에서 힘들어지고 있다. 전북은 강원의 극적인 역전골 이전에 전북이 상주전부터 공통적인 약점을 보이고 있다. 한편, 공격 패턴 부분에서는 전북이 마지막 기회를 못 살렸지만 선수들의 포지셔닝이 국내에서 보기 독특한 패턴으로 보였다. □ 강원의 1-3-4-3 수비 김병수 감독은 이번 경기에서 실리적인 경기 운영을 선택했다. 기존에 운영하는 방식을 두고 전북을 상대로 실리적인 선택을 했다는 것은, 전북이라는 상대와 현 강원의 상황을 두고 봤을 때 김병수 감독의 합리적인 판단을 내렸다. 강원이 보인 수비 방식은 1-3-4-3을 기반으로 3톱부터 수비라인을 압박하기 시작한 것이다. 골키퍼에 대한 압박도 시작되면서 2명의 센터백과 공격 전개.. [김현우의 경기 분석] 승리했지만 불안정한 경기 운영이었던 전북 전북은 이적 시장에서 바로우와 구스타보를 영입하고 이번 상주전에서 두 선수를 동시에 선발 시키면서 막강한 화력을 예고했으나 2 대 1로 상주를 간신히 이기면서 2위를 유지해 이번 라운드를 마쳤다. 모라이스 감독은 이번 경기에서 다소 불안정하면서 전반전을 끝마쳤는데 많은 불안전한 요소들이 보이면서 전반전 주도권은 상주가 가져갔다 해도 무방했다. □ 애매함만 남긴 전북의 전방 압박 전북은 전방 압박 전술을 꺼내들면서 1-4-4-2 형태를 주로 유지했다. 전방에서 구스타보와 같이 압박할 파트너는 이승기 또는 김보경이 되면서 상주의 공격이 후방에서 전환된 측면에 해당 위치에 있는 선수로 된다. 예를 들어 상주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볼이 전환될 때 이승기가 있기에 전진하면서 투톱을 형성한다. 이 과정 속에서 이승..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