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스만은 이번 경기를 통해 무엇을 보여주려고 했을까? 이번 패배는 다소 '무슨 축구를 하려는건가?' 하는 의문점이 들 수 있었던 경기였다. 단순히 전술을 잘 보고 못 보고를 떠나서 필드 안에서 선수들끼리 합에서 나오는 시너지도 잘 안맞는 느낌이고 맞지 않는 옷을 입은 느낌이 있었기 때문에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번 경기는 손흥민과 김민재의 부상과 병역 문제로 인해 제외되고 이강인과 오현규 그리고 뉴 페이스들과 새로운 조합으로 나오는 경기였다. 새로운 조합들이 맞춰진 상황 속에서 지난 2경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경기를 1-4-2-3-1 형태로 준비했다.
원두재가 원볼란치로 위치한 상황에서 시작했지만 황인범이 자주 내려오면서 투볼란치를 만들고 두 선수 중 한 명은 지속적으로 사이드에 껴서 풀백을 높게 전진시키는 모습들을 많이 보였다. 그러면서 윙어들을 안으로 들어오게 만들어 메이킹 해주는 능력이 있는 선수들을 안에서 활용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면서 볼이 사이드에서 안으로 들어오든 후방에서 단순하게 찍어서 앞 채널로 보내주든 오현규가 내려와서 버텨주거나 황희찬이 침투 하면서 공간을 만들려고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황희찬이 볼을 쉽게 잃어버린다든가 오현규와 황희찬의 움직임 합이 아직 잘 안맞는 상황들이 많았다.
동시에 이강인은 오현규가 버텨주면서 안으로 들어와 볼을 소유하고 반대로 전환하거나 우측에서 고립될 경우 개인 기량으로 풀고 나와 팬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또 볼을 안으로 몰고와 반대 전환이나 세밀한 메이킹 등 본인의 몫을 충분히 다 했고 그 이상을 해냈던 이강인이다.
이강인의 활약이 엄청났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보여준 공격 패턴이 묻힌 감도 없지 않아 있었는데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2선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이전 경기들에서 손흥민이 볼을 잡고 높은 템포로 역습을 이끌고자 했던 방식인데 이번 경기도 황희찬이 2선에서 볼을 소유해 여러 공격 작업들을 진행해봤지만 좁은 공간에서 볼을 세밀하게 지켜내지 못하다 보니 우리나라는 측면에서 박스 안으로 들어가는 옵션을 기대해야 했다.
반대로 수비는 어땠을까? 개인적으로 공격보다 아쉬웠던 건 수비 방식이었다. 4-4-2 형태에 황희찬과 오현규의 투톱 중 한 명이 채널링 하고 남은 1명은 페루 빌드업 코어에 붙었다가 대각선으로 나가는 방식으로 압박이 이루어졌다.
상대가 후방에서 빌드업 할 때 센터백이 볼을 소유한 경우 크게 무리하지 않은 방식이지만 골키퍼가 빌드업에 참여하고는 중원에서 쉽게 밀리는 현상들이 발생했다. 그러면서 지역 수비 형태에서 투톱이 횡으로 상대에게 견제하다 보니 우리가 중원에서 1명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이 발생했다. 그래서 이재성을 가운데로 놓고 다시 1-4-2-3-1 형태로 중원에서 1v1로 묶을 수 있는 형태로 바꿨던 것이다.
결국 아직 선수들의 합을 찾는데 고민이 깊어 보였던 경기였고 이전 경기들에서 세웠던 수비 플랜보다 많은 아쉬움이 있었던 이번 경기였다.
'김현우의 경기 분석 > A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승부지만 패배에 가까웠던 경기’ 이 경기는 수비 조직에 대해 초점을 맞춰서 볼 필요가 있다. (1) | 2022.09.24 |
---|---|
‘황의조 – 조규성의 투톱 조합’ 벤투가 5백을 상대로 투톱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2.01.30 |
한달 전 A매치에 비해 더 완성도가 높아진 스위칭 플레이들 (0) | 2021.11.20 |
‘우위를 점했지만 비긴 경기력’ 좋은 경기력이었지만 발목을 잡았던 수비 패턴 (0) | 2021.10.15 |
지난 9월 A매치와 시리아 경기 때의 차이점 (0) | 2021.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