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버풀

(14)
‘미친 압박 퀄리티’ 아스날이 경기를 주도할 수 있었던 이유와 감당하지 못한 리스크 그리고 리버풀의 변칙적인 운영 굉장히 재밌었던 경기였다. 경기 흐름도 팬들이 보기에 굉장히 재밌었던 경기지만 전술적으로도 굉장히 재밌고 알차고 두 감독이 보여준 교체 변화도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았기 때문에 재밌었다. 전술적으로 봤을 때 두 팀 다 1-3-2-4-1과 유사한 포메이션을 구축했다. 전방에서 어떤 식으로 제어하냐에 따라 풀어나오는 방식이 달랐는데 대표적으로 아스날 같은 경우 크게 무리할 상황은 없었다. 리버풀이 1-4-2-3-1 수비 형태로 경기를 진행할 때 맨시티전과 다르게 학포와 공격형 미드필더가 상대 최후방 라인을 지속적으로 견제하는게 아니라 2차 수비 움직임으로 다시 밑으로 내려가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아스날이 U자로 돌리기 편한 빌드업 형태가 만들어졌다. 때문에 전환하더라도 반대편에 공간이 나올 수 있었고 사이..
펩이 리버풀에게 치명타를 날릴 수 있게 활용된 ‘Zone 5와 Zone 10’ 이 두 팀의 경기는 언제나 치열하고 결과도 치열했다는 걸 보여준다. 그러면서 전술적인 부분에서도 항상 변칙적인 움직임을 자주 보이고 상대의 후방 빌드업을 어떻게 제어할지를 두 감독이 고민하는게 경기장에서도 많이 묻어 나오는데 이번 경기도 마찬가지였다. 두 감독 모두 1-4-2-3-1 수비 형태를 꺼내면서 빌드업을 제어하려고 하는 1차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사실상 펩이 판정승을 거둔 셈이었다. 리버풀은 1-4-2-3-1 형태에서 살라와 학포가 지속적으로 스위칭하면서 1명은 센터백, 1명은 CDM을 견제하면서 가운데 있는 선수와 리버풀이 2선에 위치한 공간에서 상대 접근을 어렵게 만들었지만 오히려 공격형 미드필더의 수적 부족으로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특히 살라와 학포는 로드리와 존 스톤스를 등 지고 센터..
‘접전지였던 우측면’ 이 경기에서 우측면(리버풀 기준)이 접전지가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이 두 팀의 경기는 생각보다 흥미로웠다. 레스터 시티의 좌측면에 듀스버리-홀을 올려서 활용하는 방식을 리버풀의 대응방식과 레스터가 끊임없이 노렸던 공간까지 재밌는 포인트들이 몇 차례 있었다. 리버풀은 우측면에 위치하는 엘리엇을 공격적으로 활용하면서 레스터 시티가 전방에서 위치를 지키고 있을 때 사이 공간을 통해 공간을 선점하고 볼을 밀고 들어온다든지 2선 공간에서 다양한 위치에서 연결 시켰다. 다만 마지막 파이널 서드로 보내는 정확도가 떨어져서 다소 아쉬움이 남았지만 공격 템포를 살리는데는 엘리엇의 존재는 꽤 효과적이었다. 반대로 레스터 시티는 이런 리버풀을 두고 반스와 페레스를 2선으로 구분 지을 수 있도록 전진시켜 상대의 패스 선택 길을 최대한 줄이고자 만들었지만 완벽에 가깝도록 제어하는데 실패했다...
‘리버풀의 다이아몬드’ 클롭은 누녜스 – 피르미누 – 살라의 공격 조합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을까? 이번 시즌 리버풀은 여러 선수들이 부상을 당하면서 4-3-3 형태로 정상적인 운영이 거의 불가능했다. 전진하는 헨더슨과 지금은 나오고 있지만 한 때 좌측 하프 스페이스 쪽을 담당했던 티아고와 여러 선수들까지 너무 많은 부상들도 있었다. 그래서 최근부터 4-4-2 다이아몬드 형태를 바탕으로 경기를 운영하게 되는데 특히 토트넘 전에서 보였던 누녜스 - 피르미누 - 살라의 조합 움직임은 꽤 흥미로웠다고 생각한다. 보통의 4-4-2 다이아몬드는 중앙에서 고립되는 형태도 간혹 보이거나 풀백의 오버래핑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보이는데 클롭의 4-4-2 다이아몬드 형태는 기본적으로 미드필더들이 넓게 위치해주면서 풀백들이 올라갈 수 있도록 만들어 주고 동시에 역삼각형 형태가 후방에서 빌드업할 때는 양쪽으로 넓게 위치하고 ..
클롭의 승리 키 포인트는 전환 또 전환… 펩에게 주어진 고민은 측면 자원과 더 브라위너의 동선 문제 커뮤니티 쉴드 경기는 보통 프리시즌의 한 경기로 보는 경우가 많다. 이번 리버풀 - 맨시티의 경기인데도 말이다. 다만 본격적인 시즌 개막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마냥 프리시즌의 개념으로 보기에도 어렵다. 때문에 사실상 프리시즌이자 최종 모의고사인 셈인데 이 경기에서 맨시티는 지난 시즌 만큼의 퍼포먼스는 보여주지 못했다. 단순히 지고 이기고의 문제와 퍼포먼스의 문제보다 새로운 조합을 맞추는 시점이기 때문에 확실한 동선정리가 필요했다. 특히 지난 시즌 활약했던 스털링, 제주스가 첼시와 아스널로 이적하면서 의도치 않게 입지가 좋아진 그릴리쉬와 새로 영입된 홀란드. 그리고 좋은 왼발을 가진 마레즈의 조합은 베르나르드 실바와 더 브라위너의 조금 달라진 임무까지 더해져서 새로운 시스템이 분명 필요해보였다. 영상 - ..
‘가짜 풀백? 윙백?’ 두 감독의 전술 중 가장 흥미로웠던 키 포인트 클롭은 이번 경기에서 파비뉴가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헨더슨을 수비형 미드필더로 두고 케이타를 활용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옥슬레이드 쳄벌레인이 나올 수 있었지만 실전 감각이나 헨더슨의 기존 역할의 수행 적합도를 고려해봤을 때 아무래도 케이타가 더 적합했다. 그래서 헨더슨의 원볼란치로 티아고가 내려오거나 마네가 빈 공간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부분에 더해 아놀드도 이 경기에선 아예 안쪽으로 좁히는 상황을 많이 보였다. 아놀드가 안쪽으로 좁히면서 리버풀이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은 크게 2가지로 보였는데 그 중 첫 번째는 단순히 아놀드가 프론트 라인으로 줄 수 있는 볼 공급도 가까워지지만 두 번째는 프론트 라인과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반대편에 있는 루디가 뛰어 들어가는 타이밍에 맞춰 첼시 센터백들 사이 ..
‘Simple is best’ 펩이 더 브라위너를 활용해 간결하면서 속도감 있는 공격 패턴을 선보이게 만든 이유 펩이 여태까지 수 많은 경기를 치루면서 강팀과의 경기에서 간혹 시원시원한 역습을 보여준 경기가 몇 경기 있다. 대충 감으로 생각해봤을 때 PSG전도 있고 여러 경기가 있지만 이번 경기도 마찬가지다. 리버풀의 압박을 대비해 2선 공간에서 더 브라위너를 활용해 앞쪽 공간을 속도로 누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리버풀의 수비 압박 포메이션 덕분에도 더 극대화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물론 리버풀이 전방 압박도 성공했지만 전반전 몇 차례 보면 조직적으로 움직이지 못했다. 이런 부분도 클롭이 수비 전술을 설계할 때 어떤 점에 중점을 두고 수비하냐에 따라 무게가 많이 달라져 존 프레싱 처럼 보였지만 4-1-4-1 형태에서 4-4-2 형태로 변환될 때도 더 브라위너가 공간을 잘 찾아 들어가면서 공격숫자(맨시티)3 v ..
리버풀이 꾸준하게 보이고 있는 전술적 약점을 잘 공략한 로저스 로저스는 지난 맨시티전 완패 이후 포메이션을 바꾸고 나왔다. 포메이션을 바꿔나온 점과 몇몇 구성원들은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로저스가 다른 의도를 가진 변화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이런 변화 속에 3명의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수비라인 앞에 배치시키는 모습도 수비라인 - 3선 라인을 간격을 좁히고 리버풀의 2선 선수들과 수적 불리함을 피하기 위함과 측면에서도 수적으로 크게 밀리지 않기 위한 의도였다. 이렇게 간격을 좁히면서 측면에서는 수적으로 불리하지 않게 만드는 것은 웨스트 햄, 토트넘 전에서 대표적으로 리버풀이 어려워했었던 환경이다. 물론 어떤 팀이든 상대가 2선 공간을 좁게 형성하면 공간을 창출하고 활용한다는 것이 절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 동안 리버풀이 잘해왔던 헨더슨과 살라가 우측면에서..
‘환상적인 티파헨 조합’ 리버풀의 티파헨 조합과 핵심의 사각형 올 시즌 리버풀은 웨스트 햄전 패배만 제외하면 패배한 기록이 없다. 심지어 챔피언스리그에서는 로테이션을 돌렸음에도 불구하고 6승을 기록하면서 전술이 전체적으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고 선수 구성원이 누가 되냐에 따라 경기 내용이나 패턴이 세밀하게 바뀌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일명 티파헨. 티아고 파비뉴 헨더슨 조합이 리그에서 꾸준히 선발로 출전하면서 4연승을 기록하고 있는데 서로의 역할들을 서로 나누면서 훌륭한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사우스햄튼 전까지 티아고가 나오기 전부터 쳄벌레인이 좌측 미드필더로 나와 활약했지만, 경기를 읽는 눈이나 세밀한 길 또는 볼을 소유해야할 타이밍과 줘야 할 타이밍을 구분해내지 못한 점이 굉장히 아쉬웠다. 그러나 티아고가 선발로 들어오면서 쳄벌레인이 지속적으로 ..
‘공격진 4골 2도움’ 리버풀 공격수들이 맹활약 할 수 있었던 이유 솔샤르가 맨유에 부임한 이래 몇 차례 전술적 완패했던 경기는 여러 차례 있었다. 그 중 이번에 기록한 완패는 솔샤르가 애초에 준비한 전술이 완전히 실패한 전술이었다. 솔샤르의 전술을 보고 느꼈을 땐 윙어들을 앞쪽이나 풀백에게 견제할 수 있게 두면서 전진한다고 느껴졌다. 그래서 래쉬포드나 그린우드가 초반에는 브페나 호날두 대신 전진하기도 했지만 브페와 호날두는 뒤에서 쫓아가는 움직임이었지 측면을 메꾸는 움직임이 아니었기 때문에 측면에 빈공간이 생기기도 했다. 때문에 풀백이나 미드필더는 측면 공간을 메꾸기 위해 굉장히 고생했다. 특히 리버풀이 아놀드나 로버트슨 혹은 밀너나 조타가 볼을 소유할 경우에는 볼을 받고 난 뒤에 소유하는 시간을 짧게 가져갔기 때문에 선수와 선수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을 재빠르게 공략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