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전술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리적 선택’ 나겔스만의 마네, 사네를 윙어로 배치한 이유와 4-2-3-1의 포인트만 바꾼 전술 이번 주 가장 빅매치는 뮌헨과 바르샤 경기였다. 두 팀의 흐름은 나쁘지 않지만 뮌헨은 코망이 부상당하면서 공격진 조합이 더 애매해진 상황이 되었다. 나겔스만이 선발한 라인업을 봤을 때 마네와 사네는 양쪽 윙어로 나왔고 뮐러가 스트라이커, 무시알라가 공격형 미드필더로 결국 출전하게 됐는데 나겔스만의 의도는 라인업만 봤을 때도 명확했다. 양 쪽에 빠른 선수 두 명을 두고 측면을 빠르게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파악됐다. 단순히 후방에서 측면으로 때려 넣는게 아니라 바르샤의 압박 상황과 나겔스만의 의도가 맞물리면서 빠른 선수들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했다. 여기까지 봤을 때 나겔스만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낀 이유는 똑같은 4-2-3-1 포메이션이라도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콘셉을 다르게 가져가는 점이다. 하나의 포메이션을.. ‘특이한 뮌헨의 4-2-3-1 운영?’ 꽤 신선하게 느껴졌던 나겔스만의 4-2-3-1 4-2-3-1을 활용하는 팀들은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까? 여러가지 방식들이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윙어들을 넓게 벌리는 방식도 생각해볼 수 있고 반대로 윙어를 좁혀서 풀백을 전진시키는 형태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 인테르 - 뮌헨 경기에서만 봤을 때 뮌헨의 4-2-3-1은 꽤 신선하게 느껴졌다. 신선하게 느껴진 이유는 그동안 봤던 4-2-3-1 운영법과 조금 다른 방법으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뮌헨의 경우 후방에서부터 변칙적인 백쓰리를 만들고 우측면으로 쏠리는 포지셔닝을 자주 가져가는데 우측면으로 쏠릴 때 우측면을 작정하고 공격 패턴을 만들기 보다 오히려 의도적으로 좌측면을 활용하기 위해서 우측면으로 쏠리게 만들었나 싶기도 했다. 그만큼 우측면보다 좌측면을 더 핵심으로 활용했고 첫 번째 득점 .. [김현우의 경기 분석] 힌트를 얻고 승리의 발판을 만들었던 플릭 지난 시즌 유럽 대항전 우승 팀들의 경기에서 슈퍼컵 다운 경기가 나왔다. 로페테기는 초반에 뮌헨을 고전하게 만들면서 먼저 선제골을 뽑아내는데 성공했고, 플릭은 초반에 고전했지만 다른 공격 패턴이나 세비야의 약점을 파악한 후에 약점을 공략하면서 경기의 주도권을 잡았다. 경기 스코어를 봤을 때 세비야가 패했지만 두 감독이 보인 전술 싸움으로 굉장히 알찬 경기였다. □ 양 팀의 선발 라인업 플릭은 티아고가 리버풀로 이적하면서 티아고의 역할을 키미히가 미드필더에서 수행할 수 있게 만들었다. 키미히가 미드필더로 활약하면서 이에 대한 공백은 파바르가 채웠고 지난 시즌 챔스에서 활약한 데이비스 대신 에르난데스가 왼쪽 수비수 자리를 채웠다. 이외에 사네가 선발로 경기 출전하면서 속도에 자신감 있는 양쪽 윙어가 나왔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