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현우의 경기 분석/EPL

‘미친 압박 퀄리티’ 아스날이 경기를 주도할 수 있었던 이유와 감당하지 못한 리스크 그리고 리버풀의 변칙적인 운영

굉장히 재밌었던 경기였다. 경기 흐름도 팬들이 보기에 굉장히 재밌었던 경기지만 전술적으로도 굉장히 재밌고 알차고 두 감독이 보여준 교체 변화도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았기 때문에 재밌었다.
 
전술적으로 봤을 때 두 팀 다 1-3-2-4-1과 유사한 포메이션을 구축했다. 전방에서 어떤 식으로 제어하냐에 따라 풀어나오는 방식이 달랐는데 대표적으로 아스날 같은 경우 크게 무리할 상황은 없었다.
 
리버풀이 1-4-2-3-1 수비 형태로 경기를 진행할 때 맨시티전과 다르게 학포와 공격형 미드필더가 상대 최후방 라인을 지속적으로 견제하는게 아니라 2차 수비 움직임으로 다시 밑으로 내려가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아스날이 U자로 돌리기 편한 빌드업 형태가 만들어졌다.
 
때문에 전환하더라도 반대편에 공간이 나올 수 있었고 사이 공간으로의 볼 투입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아스날이 빌드업으로 전반전에 주도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반대로 리버풀은 평상시와 다른 형태였다. 아놀드를 안쪽으로 좁혀 놓으면서 헨더슨을 더 전진시키고 아놀드가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 위치하게끔 만들었는데 아르테타는 1-4-2-3-1 형태를 구축해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리버풀의 빌드업을 철저하게 제어했다.
 
제주스와 외데고르가 채널링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가져가면서 한 곳으로 몰고 사카와 마르티넬리는 로버트슨과 코나테를 견제하는 준비를 하면서 측면으로 나올 수 있는 살라와 조타는 가브리엘과 벤 화이트 그리고 헨더슨과 커티스 존스를 진첸코와 파티가 견제하면서 과감하게 상대 진영에서 묻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뒤에는 아예 백3가 픽스로 고정되게끔 만들면서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경기를 펼쳤는데 문제는 지역 수비 상황에서 나왔다.
 
모든 팀들이 그렇겠지만 전방 압박을 하더라도 그 압박이 10번이면 10번 다 성공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언제든지 지역 수비 상황으로 내려가서 준비를 해야하는데 아스날이 이 과정에서 4-4 지역 수비 형태를 만드는게 아니라 4-2 혹은 5-2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면서 윙백이 앞으로 나오고 발생되는 수비라인의 간격으로 인해 리버풀에게 공략을 많이 당했다.
 
때문에 클롭은 누네스와 피르미누를 투입하면서도 프론트 라인에 숫자를 많이 세워 사이 간격에 위치할 수 있게 만들었고 아르테타는 수비수를 투입해 5백으로 간격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르테타의 의도대로 경기가 마무리 되진 못했는데 수비수의 투입보다 중원을 두텁게 만들어서 중원싸움 + 측면 공간을 커버한다든지 4-4 지역 수비를 만드는데 조금 더 집중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은 들지만 아르테타의 의도는 충분히 어떤 의도였는지 알 수 있었던 교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