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팀들이 최근에 3백을 활용하고 있다. 3백을 활용하는 팀들 모두 수비 상황은 주로 2가지로 나뉘어 지는데 첫 번째는 수비 라인을 아예 낮춰서 5백으로 잠그는 상황. 두 번째는 상대 후방 빌드업부터 제어하기 위해 윙백을 전진시키면서 아예 3-4-2-1 압박 체제로 수비하는 것이다.
첼시는 후자쪽을 택했고 첼시가 라인을 올리면 보통 윙백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지만, 1선 라인부터 압박 시작점을 높게 잡고 들어가는 위치부터 안맞기 시작했다. 하베르츠는 주로 센터백이나 발 밑이 약한 쿠르투아를 압박하고 풀리식과 마운트는 주로 1명은 남은 센터백을 압박하고 남은 1명은 카세미루를 견제하는데 크루스나 모드리치도 후방 빌드업에 적극적으로 가담했기 때문에 캉테가 전진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이런 압박체제는 캉테의 빠른 기동력을 바탕으로 크루스를 뒤에서 못 돌게 압박하는 의도였지만 캉테의 기동력은 이 경기에서 빠르지 못했고 오히려 조르지뉴가 좌측면에서 전진하면서 첼시의 좌우측 진영에서 레알은 벤제마와 모드리치가 쉽게 볼을 소유하고 전진할 수 있었다.
특히 우측에 있었던 크리스텐센과 리스 제임스는 리스 제임스가 전진하고 비니시우스가 바깥쪽에 위치하면서 비니시우스 - 크리스텐센의 1v1 매치가 자주 나왔는데 워낙 비니시우스의 민첩함과 순간 속도를 내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비니시우스가 개인 기량으로 크리스텐센을 쉽게 누르고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 레알에게 매우 효과적이었다.
또 공격 상황에 대해서도 투헬은 고민이 깊어졌다. 3명의 공격진(마운트, 풀리식, 하베르츠)은 간격이 멀어지기 시작했었고 삼각형 대형을 만드는 것이 장점이었지만 측면에서 가운데로 들어갈 때는 간격이 좌측면과 우측면에 위치하는 공격진들끼리 간격이 멀어지면서 개인기량으로 풀지 못하면 다시 뒤로 내줄 수 밖에 없었다.
이는 현재 첼시가 많이 지쳐있는 상황이고 에너지 레벨이 많이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했던 상황이었다.
첼시가 1차전에서 완패에 가까운 경기였는데 2차전에서 반등의 기회를 잡으려면 단순히 체력을 끌어 올린다는 추상적인 개념보다 조금 다르게 접근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김현우의 경기 분석 > 유럽 챔피언스리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이한 뮌헨의 4-2-3-1 운영?’ 꽤 신선하게 느껴졌던 나겔스만의 4-2-3-1 (0) | 2022.09.13 |
---|---|
‘스위칭 플레이가 만든 음바페 멀티골’ 갈티에의 빠른 선수를 활용하는 방식과 중원을 단단하게 만든 방식 (0) | 2022.09.09 |
유벤투스의 공격 전술과 전방 압박은 무엇이었으며 비야레알이 압박을 풀어냈던 비결은 무엇일까? (0) | 2022.03.19 |
‘겉도는 패턴’ 맨유가 비겼지만 무기력하게 보였던 이유 (0) | 2022.02.26 |
뮌헨의 3-1-5-1 시스템을 최대한 방해하는데 성공한 야이슬레의 4-1-3-2 수비 시스템 (0) |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