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치히는 다시 만난 PSG를 상대로 패하면서 경기를 아쉽게 마무리해야했다. 그러나 경기 통계를 보면 경기를 주도했던 팀은 라이프치히였다. 물론 이 수치는 PSG가 경기 초반 선제골을 넣고 라이프치히는 쫓아가야 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득점 기회를 더 만들어야 했던 라이프치히에게 당연히 우세한 통계를 보였다. 그러나 상대와의 객관적 차이를 생각해보면 라이프치히가 만들어 낸 우세한 통계는 라이프치히의 경기 내용이 더 훌륭했음을 알 수 있다.
□ 라이프치히 선발 라인업
나겔스만은 이번 시즌 들어 포르스베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고 이번 경기에도 선발로 나왔다. 또한 하이다라를 활용하며 변칙적인 전술을 선보이면서 사비처가 중원에서 후방에서 혼자 견뎌내야 했다. 이는 부담되는 원볼란테이자 동시에 나겔스만이 노리는 공간은 따른 곳에 있다는 것을 뜻했다.
□ 나겔스만이 꺼낸 변칙 전술
라이프치히의 선발 포메이션이 소개될 때는 1-4-3-3 형태로 소개됐다. 선수들의 후방 빌드업 상황 포지셔닝을 본다면 1-4-3-3 형태에 가깝지만, 공격형 미드필더 역할인 포르스베리와 올모는 공격적으로 전진해서 사비처가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 홀로 코어가 되고 중앙이나 측면으로 볼을 배급해 줘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역할을 수행했다.
후방에서 빌드업을 시작할 때 라이프치히의 수비라인은 왼쪽으로 균형이 조금 쏠리며 4백이 유지됐다. 이때 하이다라와 은쿤쿠는 각각 오른쪽과 왼쪽에서 넓게 위치하며 마치 윙백 위치에 있었다. 이 2명의 선수의 움직임에 따라 풀백들의 움직임은 달라졌다.
빌드업 단계가 하프라인을 넘을 때부터 라이프치히의 공격 형태는 왼쪽 측면이 더 전진된 모습을 보여 우파메카노 – 코나테 – 무키엘레로 이루어지는 백3가 형성되고 앙헬리뇨와 하이다라가 넓게 위치했다.
나겔스만의 의도는 불안한 PSG의 수비라인을 공략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PSG는 지난 리그 경기에서 모나코를 상대로 리드했지만 수비 실책에 의해 역전되어 패하고 말았다. 특히 PSG의 수비 형태는 1-4-3-3 형태로 중앙에서는 밀집되어 있지만 에레라, 파레데스와 음바페, 디 마리아가 넓게 위치해 수비하지 않으면 풀백 vs 풀백, 윙어의 대결구도가 되기 때문에 나겔스만은 수적으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측면을 집중적으로 공략했다.
공략하기 위해서 나겔스만은 두 측면을 다르게 움직이게 만들었다. 왼쪽 측면에 넓게 위치하던 은쿤쿠는 볼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전환 과정에서 넓게 위치하다가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상대 풀백인 플로렌치를 안쪽으로 좁혀들게 만들고 앙헬리뇨가 전진할 공간을 만들었다.
한편, 오른쪽 측면에서는 무키엘레가 오른쪽 센터백 위치에서 시작했지만 빌드업 단계가 하프라인을 넘어 2선까지 전개될 때 하이다라는 안쪽으로 좁혀 들어가 페널티 안으로 침투해 페널티 박스 안에 숫자 싸움을 더 하고 주로 하프 스페이스와 측면에 위치하고 하프 스페이스에 위치할 때 무키엘레가 측면에서 오버래핑 하면서 루즈볼을 찾는 역할이었다.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라이프치히의 공격 형태는 1-3-3-3-1 형태가 되며, 은쿤쿠 – 포르스베리 – 폴센 – 올모의 공격진 조합이 일자로 완성된다. 이 때 하이다라 또는 앙헬리뇨가 측면에 넓게 위치되기 때문에 상대 풀백을 유인하고 유인되며 생기는 풀백 – 센터백 사이 공간을 은쿤쿠와 올모가 침투하며 수비 라인을 무너뜨리는 모습이 적극적이었다.
이 과정에서 폴센과 포르스베리가 볼을 받고 풀백 – 센터백 사이로 침투하는 선수가 뛰어 들어갈 공간을 향해 볼을 공급하면서 터치하고 패스하는 이 과정을 간결하게 해나가며 위협적인 기회를 만들 수 있었다.
후반전부터 투헬이 다닐루, 파레데스, 에레라를 일자로 배치하고 디 마리아는 왼쪽 측면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측면에서 수적으로 불리한 상황을 수비 상황에서 1-4-4-2로 바꾸면서 대응책을 보이면서 측면을 공략하는 나겔스만의 공격을 저지하기 시작했다.
'김현우의 경기 분석 > 유럽 챔피언스리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속에 진짜 강한 남자 지단의 전술은 무엇이었을까? (0) | 2020.12.14 |
---|---|
바르샤를 상대로 피를로의 완벽에 가까웠던 '전술 승리' (0) | 2020.12.12 |
[김현우의 경기 분석] 파리의 발목을 묶어낸 라이프치히의 하이브리드 전술 (0) | 2020.11.08 |
[김현우의 경기 분석] 솔샤르가 가져온 맞춤형 전술 (0) | 2020.10.25 |
[김현우의 경기 분석] 라이프치히의 전술 변천사와 투헬의 전방 압박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