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우의 경기 분석] 안첼로티가 보여준 전술은 무엇일까?
구디슨 파크에서 안첼로티는 머지사이드 더비라는 중요한 경기에서 승점 1점을 획득했다. 홈경기에서 원정 팀을 이기지 못했다는 것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바라볼 수 있지만, 상대가 리버풀이었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안첼로티는 에버튼에게 주어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팀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축구를 구사했다.
□ 안첼로티가 담은 의도는 무엇일까?
안첼로티는 팀의 상황과 상대편 상황을 확실히 인식하고 판을 준비했다. 중원에서 정면승부 보다 중원 리스크를 감수하되 확실하게 기회를 살릴 수 있는 패턴으로 경기 운영을 준비했다.
중원에 있는 알랑, 두쿠레, 고메스의 조합을 3명의 선수가 지속적으로 위치를 스위칭하는 중원 시스템이였다. 이 시스템은 삼각형 형태로 예를 들어 알랑과 고메스가 중원을 지탱해 주면 두쿠레가 2선 중앙으로 전진해서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2명의 미드필더가 중원을 지탱할 수 있으면서 후방에 안정감을 더 하지만 지공 상황에서 전방에 공격수들이 풀백이 전진하지 않는다면 4명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격 패턴을 보이기 힘들다. 때문에 에버튼의 중원 시스템 관전 포인트는 중원에서 쉽게 풀어내지 못하면 측면을 통해 공격 전개가 되거나 중원에서 리스크를 감수하고 볼을 투입해야 한다.
중원에서 볼 전개가 어려운 이유는 리버풀의 중원 구조는 역삼각형 모습에 가깝게 배치되면서 마네, 피르미누, 살라도 전진하면서 에버튼의 2명 미드필더가 갇히게 되면서 측면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되면서 하메스가 위치한 오른쪽 측면으로 볼이 투입되며 하메스에게 집중된 공격 전개를 보일 수 있었다.
리버풀이 중앙에 압박 중심을 두기 때문에 에버튼은 측면으로 볼 공급하기 조금 더 수월해지면서 하메스에 대한 마크가 같은 위치에 있는 로버트슨밖에 없었기 때문에 측면으로 풀어나면 안첼로티의 계획대로 경기가 흘러가게 되는 것이었다.
팀 공격의 핵심 선수인 하메스에게 볼이 공급되는 의도가 담기면서 오른쪽 측면에서 전환되고 디뉴의 크로스로 르윈을 타깃으로 두는 패턴을 선보인 점이다. 한편, 하메스는 오른쪽 측면에서 전환 패스를 시도할 때 본인의 이번 시즌 포지션을 오른쪽에서 뛰는 점도 있지만 클롭은 이번 경기에서 아놀드를 낮은 위치에 배치시키면서 상대 측면 공격을 대비하는 포지셔닝이었다. 그래서 리버풀의 공격은 전체적으로 왼쪽 공격에 더 비중을 둔 공격 형태였다.